기초과정 |
1-1 |
■ e스포츠산업의 이해
■ 게임콘텐츠산업의 이해
■ e스포츠 게임플레이 기초
■ 콘텐츠기획 및 창작
■ 미디어콘텐츠기획론
|
|
|
1-2
|
■ 게임콘텐츠제작의 이해
■ 게임장르 및 플랫폼 분석
■ 글로벌 e스포츠 산업현황
■ 스토리텔링기법
■ MCN매니지먼트
|
|
|
심화과정 |
2-1 |
■ e스포츠 경기 전략전술
■ e스포츠 커뮤니케이션
■ K-컬처산업론
■ 4차산업혁명의 이해
|
|
|
2-2
|
■ e스포츠 코칭/감독
■ e스포츠 매니지먼트
■ 브랜딩과 지식재산권
■ 온라인광고제작
|
|
|
심화과정 |
3-1 |
■ e스포츠 비즈니스 모델
■ e스포츠 경기 빅데이터분석
■ 한류와 문화콘텐츠
■ 미디어예술과사회
|
|
|
3-2
|
■ e스포츠 취업과 창업 코칭
■ e스포츠 홍보마케팅
■ K-영상콘텐츠
■ 인터넷미디어플랫폼의이해
|
|
|
4-1
|
■ e스포츠 게임종목 해설
■ 영상편집
|
|
|
4-2
|
■ e스포츠 리그 운영 계획
■ 대중예술론
|
|
|
타학과 전공 공유과목 |
콘텐츠기획 및 창작, 미디어콘텐츠기획론, 스토리텔링기법, MCN매니지먼트, K-컬처산업론, 4차산업혁명의 이해, 브랜딩과
지식재산권, 온라인광고제작, 한류와 문화콘텐츠, 미디어예술과사회, K-영상콘텐츠, 인터넷미디어플랫폼의이해, 영상편집, 대중예술론
|
학위 |
e스포츠학사 |
자격증/수료증 |
|
|
|
졸업 후 진로 |
e-스포츠 경기 선수(프로게이머), e스포츠 감독/코치, e스포츠 운영 기획자, e스포츠 전문 마케터, e스포츠방송 캐스터,
e스포츠 서비스기업 창업, e스포츠 전문방송사, e스포츠 전문미디어 사업, e스포츠 매니지먼트/ 기획사, 문화콘텐츠 유통/ 마케터, 게임콘텐츠 기획자,
게임콘텐츠 제작기업, 게임 영상 제작자,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