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학 과

융합형 교육으로 새로운 인재를 양성합니다

GUKJE CYBER UNIVERSITY 학 과

K-e스포츠학과

학과문의 : 1588-3151(내선256)
    K-e스포츠학과
    K-eSports

e스포츠 분야 커리어 개발의 시작

  • 막막하기만 했던 e스포츠 분야 진로 준비, 이젠 K-e스포츠학과에서!


졸업 후 진로

  • e스포츠선수, e스포츠 지도자(감독/코치), e스포츠 구단 운영자, e스포츠 마케터, e스포츠 대회 기획자, e스포츠 심판(1,2,3급), e스포츠 해설자/캐스터, e스포츠 방송 연출가, e스포츠 전문 교육자, e스포츠 데이터 분석가, e스포츠 행정가, e스포츠 에이전트, 게임사 e스포츠 담당자, e스포츠 협·단체 운영자, 엔터테인먼트 전문가, 게임 영상 제작자

K-e스포츠학과 소개

  • K-e스포츠학과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e스포츠 전문가를 양성하여 e스포츠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 능력을 강화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기획, 제작, 운영, 데이터 분석 및 선수 코칭에 이르는 다양한 역량을 종합적으로 배양합니다.
다음내용참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e스포츠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성장을 거듭하는 혁신 산업 e스포츠 다가올 새로운 기회, K-e스포츠학과에서
글로벌 e스포츠의 기대수익'50억 돌파'
글로벌 e-스포츠 시장별 기대 수익
서울시, 5년내 게임산업 '12조’로 'e스포츠화'에 전문인력 키워낸다
e스포츠 산업 '레벨업’1년만에 두 배 성장
한국 e스포츠, 세계를 선도하는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다

학과특징

e스포츠 현장에서 요구되는 4가지 실전 역량을 강화합니다.

01 e스포츠 산업 관련 직무역량 강화
산학협력 업체 연계형 실무 교육
진로 목표에 따른 학습자 맞춤형 교육
기획, 제작, 진행, 운영을 위한 능력 개발 교육
e스포츠 현직자 중심의 교육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e스포츠 전문 커리큐럼
문화와 산업 이해가 높은 K컬처 융합 인재 양성
02 데이터·AI·미디어 활용, 기술역량 강화
e스포츠 데이터 활용 능력
소프트웨어, AI 융합 교육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신기술 분석과 활용 교육
03 체계적인 e스포츠 선수 코칭 기술, 지도역량 강화
데이터 기반 e스포츠 코칭툴
선수 데이터 분석 기반 빠르고 객관적인 기량 진단
선수 선발 추천, 지도자 교육 연계로 진로 확장
훈련 및 실력 관리 자동화로 효율적인 코칭 관리
개인별 강약점 기반 맞춤 전략 도출
04 e스포츠 방송, 대회 해설 및 콘텐츠 홍보역량 강화
e스포츠 대회 및 방송 운영
전문 캐스터 교육
전문 해설 교육
e스포츠 관련 영상 및 방송 제작
영상 및 방송 콘텐츠 기획
영상 및 방송 콘텐츠 촬영·제작
e스포츠 홍보 마케팅 전문가
콘텐츠 마케팅, 브랜드 마케팅 등 홍보 마케팅 전문가 교육
저작권 교육

학과 문의

K-e스포츠학과 사무실 1588-3151

교수소개

교육과목 안내

학년/학기 이수구분 과목명 학점
1-1 전공선택 e스포츠산업의 이해 3
전공선택 게임콘텐츠산업의 이해 3
전공선택 e스포츠 게임플레이 기초 3
전공선택 콘텐츠기획 및 창작 3
전공선택 미디어콘텐츠기획론 3
1-2 전공선택 게임콘텐츠제작의 이해 3
전공선택 게임장르 및 플랫폼 분석 3
전공선택 글로벌 e스포츠 산업현황 3
전공선택 스토리텔링기법 3
전공선택 MCN매니지먼트 3
2-1 전공선택 e스포츠 경기 전략전술 3
전공선택 e스포츠 커뮤니케이션 3
전공선택 K-컬처산업론 3
전공선택 4차산업혁명의 이해 3
2-2 전공선택 e스포츠 코칭/감독 3
전공선택 e스포츠 매니지먼트 3
전공선택 브랜딩과 지식재산권 3
전공선택 온라인광고제작 3
3-1 전공선택 e스포츠 비즈니스 모델 3
전공선택 e스포츠 경기 빅데이터분석 3
전공선택 한류와 문화콘텐츠 3
전공필수 미디어예술과사회 3
3-2 전공선택 e스포츠 취업과 창업 코칭 3
전공선택 e스포츠 홍보마케팅 3
전공선택 K-영상콘텐츠 3
전공선택 인터넷미디어플랫폼의이해 3
4-1 전공선택 e스포츠 게임종목 해설 3
전공선택 영상편집 3
4-2 전공선택 e스포츠 리그 운영 계획 3
전공선택 대중예술론 3

교육과정 이수기준

전공필수 전공선택 교양필수 교양선택 전공자유 총이수학점
9학점 33학점 이상 6학점 6학점 이상 타 학과 전공과목을 이수하여 취득한 학점 140학점 이상

전공트랙 교육과정 로드맵

과정 K-e스포츠
기초과정 1-1 ■ e스포츠산업의 이해
■ 게임콘텐츠산업의 이해
■ e스포츠 게임플레이 기초
■ 콘텐츠기획 및 창작
■ 미디어콘텐츠기획론
1-2 ■ 게임콘텐츠제작의 이해
■ 게임장르 및 플랫폼 분석
■ 글로벌 e스포츠 산업현황
■ 스토리텔링기법
■ MCN매니지먼트
심화과정 2-1 ■ e스포츠 경기 전략전술
■ e스포츠 커뮤니케이션
■ K-컬처산업론
■ 4차산업혁명의 이해
2-2 ■ e스포츠 코칭/감독
■ e스포츠 매니지먼트
■ 브랜딩과 지식재산권
■ 온라인광고제작
심화과정 3-1 ■ e스포츠 비즈니스 모델
■ e스포츠 경기 빅데이터분석
■ 한류와 문화콘텐츠
■ 미디어예술과사회
3-2 ■ e스포츠 취업과 창업 코칭
■ e스포츠 홍보마케팅
■ K-영상콘텐츠
■ 인터넷미디어플랫폼의이해
4-1 ■ e스포츠 게임종목 해설
■ 영상편집
4-2 ■ e스포츠 리그 운영 계획
■ 대중예술론
타학과 전공 공유과목 콘텐츠기획 및 창작, 미디어콘텐츠기획론, 스토리텔링기법, MCN매니지먼트, K-컬처산업론, 4차산업혁명의 이해, 브랜딩과 지식재산권, 온라인광고제작, 한류와 문화콘텐츠, 미디어예술과사회, K-영상콘텐츠, 인터넷미디어플랫폼의이해, 영상편집, 대중예술론
학위 e스포츠학사
자격증/수료증
졸업 후 진로 e-스포츠 경기 선수(프로게이머), e스포츠 감독/코치, e스포츠 운영 기획자, e스포츠 전문 마케터, e스포츠방송 캐스터, e스포츠 서비스기업 창업, e스포츠 전문방송사, e스포츠 전문미디어 사업, e스포츠 매니지먼트/ 기획사, 문화콘텐츠 유통/ 마케터, 게임콘텐츠 기획자, 게임콘텐츠 제작기업, 게임 영상 제작자, 엔터테인먼트 산업 분야